비시각장애인은 온라인, 모바일을 통해 뉴스, 증권, 문화정보 등 일상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콘텐츠들을 비교적 쉽게 습득할 수 있지만 시각장애인은 정보 접근성이 낮고, 이용 범위가 협소하여 인터넷에서 정보를 습득하고 활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복지관에서 제공하는 대면 프로그램을 통해 도움을 받을 수 있으나 지금과 같은 코로나 상황에서는 불가능한 일이다.
이에 실로암시각장애인복지관(관장 김미경)은 온라인에서 시각장애인 스스로 정보 습득 및 활용을 통한 자기 계발과 활발한 정보교류활동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플랫폼과 콘텐츠를 자체적으로 개발하여 제공하고 있다.
첫째, 시각장애인을 위한 인터넷 종합 포털서비스 ‘아이프리’는 재활정보, 전자도서, 커뮤니티 등 시각장애인 접근성이 확보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한다. 주요기능은 새소식(모집, 구인 등의 재활정보), 이메일, 전자도서관(데이지도서), 게시판, 자료실, 동호회, 뉴스, 문자발송서비스(유료), 금융정보 등이 있다. 아이프리는 네이버나 다음과 같은 인터넷 포털사이트이며, 시각장애인에게 맞춤화 되어 있다는 특징이 있다.
둘째, 아이프리가 텍스트 기반의 정보 제공 플랫폼이라면 ‘실로암 포네’는 음성기반의 플랫폼이다. 실로암 포네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다운 받아 사용할 수 있으며, PC에서는 웹브라우저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주요기능은 일간지, 녹음도서, 실시간방송(일부 화면해설), 프로야구중계석, 매거진, 녹음도서, 실로암뉴스, 신앙코너 등이 있다. 이 서비스는 모바일, 인터넷으로도 이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전화로도 이용할 수 있다. (*실로암 모바일 정보 도서관 02-880-0900)
셋째, 시각장애인을 위한 의약품 정보서비스 ‘실로암 헬스모아’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다운 받아 사용할 수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제공되는 국내 6만여종의 의약품 공공데이터를 기반으로 스마트폰에서 의약품의 바코드와 QR코드를 이용해 효능과 효과, 용법과 용량, 주의사항 등 의약품의 세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헬스모아는 시각장애인 뿐만 아니라 비시각장애인들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넷째, 온라인 평생교육 학습관 ‘실로암 이러닝 센터’는 시각장애 학습자의 교육 연속성을 높이고, 복지관에 방문하기 어려운 지방거주 시각장애 학습자에게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개설되었다. 주요 콘텐츠는 점자 및 외국어교육, 음악감상 교육 등이 있으며, 시각장애인의 개별적인 욕구를 반영하고, 시각장애인에게 특화된 교육과정을 제공하고 있는 것이 장점이다.
실로암에서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다양한 온라인 플랫폼을 자체적으로 개발하여 하나의 온라인생태계를 구축하였다. 실로암 온라인생태계를 활용하여 시각장애인들이 더 이상 정보소외계층이 되지 않고, 언택트 시대에 슬기롭게 세상과 컨택할 수 있기를 바란다.
* 아이프리 :
http://www.eyefree.org/index.php
* 실로암 모바일 도서관 :
http://www.sillib.org/
* 실로암 이러닝 센터 :
http://www.siledu.org/